기본적으로 제일 많이 쓰이는 키
Home 키 : 현재 줄의 가장 앞 칸으로 이동합니다.
End 키 : 현재 줄의 가장 뒤 칸으로 이동합니다.
Home 키 눌렀을 때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End 키 눌렀을 때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Ctrl 조합
Ctrl + ← : 현재 위치에서 단어 단위로 좌측 이동합니다.
Ctrl + → : 현재 위치에서 단어 단위로 우측 이동합니다.
이는 한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일반적인 거의 모든 프로그램에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다음 글에서 커서 위치가 "닳" 뒷부분에 있을 경우 좌측 이동을 할 때
한 번 실행하면 "닳" 앞부분까지 갔다가 그 이후로는 단어 단위로 이동합니다.
"닳도록"에서 "닳"이 시작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우측 이동도 동일합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주의할 점은 빈칸은 무시하고 다음 단어로 바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추후에 게시할 -매크로: 업무 자동화-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Ctrl + ↓ : 현재 위치에서 문단 단위로 하단 이동합니다.
Ctrl + ↑ : 현재 위치에서 문단 단위로 상단 이동합니다.
현재 커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다음 단으로 이동합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
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
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
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
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서리 불변함
은 우리 기상일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
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
위의 마지막 문단처럼 다음 단이 빈칸이어도 문단으로 인식합니다.
Shift 조합
Shift + ← : 현재 위치에서 왼쪽으로 한 칸씩 블록으로 지정합니다.
Shift + → : 현재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한 칸씩 블록으로 지정합니다.
블록으로 지정되면 지정된 단어들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 지정하고 Delete를 누르면 블록 지정된 부분이 전부 삭제됩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Shift + ↓ : 현재 위치를 기준 하단 방향으로 줄 단위 블록을 지정합니다.
Shift + ↑ : 현재 위치를 기준 상단 방향으로 줄 단위 블록을 지정합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
으로 길이 보전하세|
Ctrl + Shift 조합
보통 문장 한 줄을 삭제하고 싶으면 드래그(마우스로 쭉 끌어서 사용하는 방법)를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위 단축키들을 조합해서 사용하면 쉽고 빠르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한 줄 선택하기
Home, Shift + End
Home : 문장 맨 앞으로 가서
Shift : 블록 지정을
End : 문장 끝까지 하라
이후 Delete를 누르면 삭제 Ctrl + C를 누르면 복사 등의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삭제는 Ctrl + Y 로도 가능하지만 키 배치상 저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왼손으로 하기에도 무리가 있고 양 손으로 하면 오른손이 화살표에서 멀어지게 되어 오히려 작업 속도가 더 더딥니다.
문단 선택하기
Ctrl + ↑, Ctrl + Shift + ↓
Ctrl + ↑ : 문단 제일 위로 가서
Ctrl + Shift + ↓ : 문단 제일 아래까지 블록 지정하라
이후 Delete를 누르면 삭제 Ctrl + C를 누르면 복사 등의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Alt + Home 도 문단 제일 위로 가지만 그 위 문단으로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기에 저는 잘 쓰지 않습니다.
더 많은 조합이 있으나 위의 단축키만으로도 충분히 작업이 빨라지며 굳이 위의 단축키를 쓰지 않아도
크게 영향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추후에 다룰 -매크로 : 업무 자동화- 에서는 위의 단축키를 모르시거나
익숙하지 않을 경우 제대로 활용하기 힘듭니다.
한글에는 수많은 편리한 단축키가 많이 있지만 주로 사용하는 것은 거의 정해져 있습니다.
작업 노하우 글은 제가 실무(교재 제작)에서만 쓰는 단축키 위주로 올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