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매크로

[작업 노하우 한글] 매크로 설정 및 매크로 활용

by 꽁냐리 2021. 6. 2.

1. 매크로란?

 

매크로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한글에서 자주 반복되는 작업을 기록해 두고 필요할 때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축키를 활용하실 줄 아셔야 더 효과적입니다.

 

문장 간의 이동에 대한 단축키를 연습하시고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ecwb79.tistory.com/164?category=1025811

 

[작업 노하우 한글] 단축키 - 이동

기본적으로 제일 많이 쓰이는 키 Home 키 : 현재 줄의 가장 앞 칸으로 이동합니다. End 키 : 현재 줄의 가장 뒤 칸으로 이동합니다.  Home 키 눌렀을 때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   |

ecwb79.tistory.com

 

2. 매크로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변경

 

매크로를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먼저 간단한 설정을 변경하셔야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도구 > 매크로 > 스크립트 매크로 보안 설정을 눌러주세요.

 

 

그 후 보안 수준에서 낮음을 체크하시면 됩니다. 설명란에 보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경고글이 있는데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에는 주의해야 하지만 본인 파일에서 본인이 실행할 시에는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3. 매크로 단축키에 세팅하기

 

Alt + Shift + H를 누르면 '스크립트 매크로 정의'라는 창이 열립니다.

 

 

1) 저장하고자 하는 매크로 위치를 선택합니다.

 

2) 나중에 알기 쉽게 매크로에 이름을 붙여줍니다.

 

3) 할당되는 단축키입니다. Alt + 1을 누르면 실행된다는 의미입니다.

 

4) 정의를 누르면 그 이후부터 한글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현재 기록되어져 있는 매크로가 있을 경우 위의 메시지가 뜹니다.

 

실전 예로 밑에 이름도 '어법 선택'이란 이름으로 바꾼 매크로를 기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록을 누르면 평범한 한글 화면이 나오는데 이 때부터 키보드를 누르거나 마우스로 어떤 명령을 실행하면

 

컴퓨터가 그 동작을 기억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아무거나 막 누르시면 안 됩니다.

 

현재 커서(깜박이며 위치를 알려주는 막대기 모양)의 위치에서 시작되므로 미리 원하는 위치에 갖다 놓아야 합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동작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Ctrl (누른 상태로) ←

Ctrl Shift (동시에 누른 상태로) → → (두 번)

Alt Shift (동시에 누른 상태로) B

← → →

[

Alt (누른 상태로) Space 바 (띄어쓰기 누르는 키보드)

Ctrl (누른 상태로) →

Alt (누른 상태로) Space 바

Alt (누른 상태로) Space 바

/

Alt (누른 상태로) Space 바

Alt (누른 상태로) Space 바

Alt (누른 상태로) Space 바

]

 

좀 복잡해 보이지만 익숙해지면 상당히 편리합니다. 그럼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위 사진처럼 어법 선택형 문제로 변형되었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하단에 화살표가 가리키는 네모난 버튼을 꼭 눌러 주셔야 저장이 됩니다.

 

이제 / (슬래쉬) 뒤에 출제하고자 하는 단어를 넣어 주시면 됩니다.

 

 

아주 잘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그럼 이렇게 기록한 것을 어떻게 활용할까요?

 

이번엔 is를 문제 형태로 출제하고 싶습니다. is에 커서를 갖다 놓고

 

아까 기록했던 매크로의 단축키인 Alt + 1을 누르면

 

 

 

한번에 바로 문제 형태로 변형됩니다. 정말 편리하죠!

 

그런데 문제점이 한 가지 있네요. 정답이 전부 다 앞 단어로 설정되어 버리네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보통 어법 선택은 4가지 단축키로 설정해서 만듭니다.

 

아래 영상에서 좀 더 자세히 보시고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