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부 기초 워크북/파닉스

[기초 파닉스] 단모음, 장모음 1

by 꽁냐리 2022. 3. 21.
파닉스 워크북 교재 활용법

 

 미국식 영어 발음을 기준으로 한글을 이용하여 소리를 익히기 위한 워크북입니다.

 

 무작위 랜덤으로 단어를 조합하여도 읽을 수 있게끔 연습하는 자료입니다.

 

체계적 파닉스 교재라기보다는 참고용 자료 정도로만 활용해 주세요.

 

유튜브에 각 파닉스별 상세한 소리를 내는 법이 많이 있으니 꼭 들려주세요.

 


1. 시작하기 전

자음: 저는 '아이 소리'라고 알려줍니다.

       저학년일수록 '자음' 보다는 '아이 소리'로 알려주면 더 집중을 잘하는 것 같습니다.

 

모음: 저는 '엄마 소리'라고 알려줍니다.

       단, 선생님이 지도하실 경우 수업을 듣는 학생의 가족 관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바꿔 주세요.

       예를 들어 저는 아이의 어머님이 안 계신 경우 '아빠 소리'로 바꿔서 설명해 줍니다.

 

글자 소리의 종류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 개념을 먼저 설명해 주세요.

 

예시)

엄마(소리)와 아이(소리)가 있으면 우린 그걸 가족이라고 부르지?

지금부터 엄마(소리)와 아이(소리)가 만나 가족(단어 소리)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될 거야.

엄마(소리)가 있어야 아이(소리)가 안심하고 놀 수 있겠지?

그래서 소리를 내려면 엄마 소리가 꼭 있어야 해.

 

첫소리: 일반적으로 단어의 제일 첫 알파벳을 칭합니다.

          추후에 배울 다중 자음에서는 2개 이상이 첫소리가 되기도 합니다.

 

끝소리: 일반적으로 단어의 제일 마지막 알파벳을 칭합니다.

          추후에 배울 다중 자음에서는 2개 이상이 끝 소리가 되기도 합니다.

 

알파벳마다 첫소리로 올 경우와 끝 소리로 올 경우 소리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꼭 알려주어야 하는 개념입니다.

 


2. 자음

b c d f g
ㅋ, ㅆ 푸, 프 ㄱ, 쥐

b - 한글 'ㅂ'과 유사합니다.

c - 상황에 따라 'ㅋ'소리와 'ㅆ'소리로 나뉩니다. 따로 분류하여 단계별로 자료가 준비될 예정입니다.

d - 한글 'ㄷ'과 유사합니다.

f - 한글에서 표현하기 힘든 소리입니다.

    유튜브 등과 같은 영상 자료로 반드시 소리 내는 법을 알려주신 후에 학습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표에서 '푸, 프'라고 표기한 이유는 나중에 배울 p의 'ㅍ'소리와 차이를 두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fever라는 단어의 소리를 한글로 표기할 때

    '피벌' 보다 '(바람 소리) 퓌붤'로 표기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끝소리에서 p는 한글 받침으로 들어가고 f는 한글 받침으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tep은 '스탶' 받침으로 표기하고 staff은 '스태프(바람 소리)'로 표기합니다.

 

g - 상황에 따라 'ㄱ'소리와 '쥐'소리로 나뉩니다. 따로 분류하여 단계별로 자료가 준비될 예정입니다.

 

h j k l m

h - 한글 'ㅎ'과 유사합니다. 알파벳 이름 '에이취'와 소리가 다름을 인지시켜 주어야 합니다.

j - 한글 'ㅈ'과 유사합니다. '주' 느낌에 더 가까우나 g '쥐'와 구별 짓기 위해서 'ㅈ'으로 표기합니다.

k - 한글 'ㅋ'과 유사합니다.

l - 한글 'ㄹ'과 유사합니다.

m - 한글 'ㅁ'과 유사합니다.

 

n p q r s

n - 한글 'ㄴ'과 유사합니다.

p - 한글 'ㅍ'과 유사합니다.

q - 일반적으로 u와 함께 나와 '쿠' 느낌으로 소리 납니다. 예를 들어 quick 큌

r - 'l'의 'ㄹ'과 구별 짓기 위해 첫소리 한정 '루' 소리로 표기합니다.

     예를 들어 luck(럭)과 run(뤈)을 이용해 차이를 설명합니다.

s - 한글 'ㅅ'과 유사합니다.

 

v w x y z
부, 브 읔스

v - 한글에서 표현하기 힘든 소리입니다.

    유튜브 등과 같은 영상 자료로 반드시 소리 내는 법을 알려주신 후에 학습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표에서 '부, 브'라고 표기한 이유는 나중에 배울 b의 'ㅂ'소리와 차이를 두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victory라는 단어의 소리를 한글로 표기할 때

    '빜토리' 보다 '(떨림 소리) 뷬토뤼'로 표기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끝소리에서 b는 한글 받침으로 들어가고 v는 한글 받침으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job은 '좝' 받침으로 표기하고 save는 '세이브'로 표기합니다.

 

w - 한글 'ㅜ'와 유사합니다. 나중에 좀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x - 좀 특이한 소리입니다. 받침 'ㅋ'후에 '스'로 소리 냅니다.

    알파벳 이름 소리도 '엨스'라서 생각보다 아이들이 잘 이해하는 소리입니다.

    예를 들어 ox(앜스)가 있습니다.

y - 한글 'l'와 유사합니다. 나중에 좀 더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z - 한글에서 표현하기 힘든 소리입니다.

    유튜브 등과 같은 영상 자료로 반드시 소리 내는 법을 알려주신 후에 학습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핸드폰 진동 소리(?) 같은 'ㅈ'입니다.

    아이들이 소리를 잘 못 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는 그냥 'ㅈ'으로 알려줍니다.

 


3. 자음 + 단모음 + 받침 자음 조합

자료 이용전 주의 사항

 

자료 내용은 랜덤 조합이라 실제 존재하지 않는 단어가 대부분입니다.

 

자료 구성은 영어를 보고 한글 소리로 써보기와 한글 소리를 영어로 써보기입니다. 예) tap = 탶     켚 = kep

 

c, g처럼 모음 조합에 따라 소리가 나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한글을 영어로 표기할 때 설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켄'이라는 소리를 영어로 표기하라고 할 때

cen을 쓰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c는 e를 만나면 'ㅆ' 소리를 냅니다.

되도록이면 답지에 있는 답안을 정답으로 설명해주세요.

다음 파닉스 단계에서 c, g, f, v, r 같은 특수 첫소리들을 다룰 예정입니다.

 

a e i o u

3글자 이하 단어 조합에서 짧게 발음되는 모음입니다.

 

b, p, k, t, l, m, n의 한글 끝소리는 받침으로 표기합니다.

예를 들어 cat은 '캐트'라고 소리 내지 않고 '캩'으로 소리 낸다고 지도하시면 됩니다.

 

예시)

a - cat = ㅋ + + ㅌ(받침) = 캩

e - tep = ㅌ + + ㅍ(받침) = 텦

i - kim = ㅋ + + ㅁ(받침) = 킴

o - bon = ㅂ + + ㄴ(받침) = 반

u - sul = ㅅ + + ㄹ(받침) = 설

 


4. 자음 + 장모음 + 받침 자음 조합

 

a ~ e e ~ e i ~ e o ~ e u ~ e
ㅔ이 ㅣ이 ㅏ이 ㅗ우 ㅠ우

끝소리에 모음 'e'가 추가되면 길게 소리 내는 장모음으로 소리가 바뀝니다.

원래 알파벳 이름으로 소리가 난다고 지도해 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tap은 'ㅌ + + ㅍ = 탶'으로 단모음(짧은소리)이 나지만

tape은 'ㅌ + ㅔ이 (알파벳 이름 소리) + ㅍ = 테잎'으로 장모음(긴 소리)이 납니다.

 

예시)

a - cate = ㅋ + ㅔ이 + ㅌ(받침) = 케잍

e - tepe = ㅌ + ㅣ이 + ㅍ(받침) = 티잎

i - kime = ㅋ + ㅏ이 + ㅁ(받침) = 카임

o - bone = ㅂ + ㅗ우 + ㄴ(받침) = 보운

u - sule = ㅅ + ㅠ우 + ㄹ(받침) = 슈울

 


이상으로 단모음, 장모음의 기초를 살펴봤습니다.

 

아래 자료들은 랜덤 파닉스 Test입니다. 영어 알파벳 발음 기초가 부족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파닉스 테스트 단,장모음 1.zip
0.11MB

댓글